전북도, 청년 주도 청년정책조정위원회 개최
상태바
전북도, 청년 주도 청년정책조정위원회 개최
  • 김현표 기자
  • 승인 2023.02.16 18: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라북도는 16일 청년정책에 관한 주요사항을 심의·조정하기 위해 2023년 제1차 전라북도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제2차 전라북도 청년정책 기본계획(안), 2023년 전라북도 청년정책 시행계획(안), 청년참여위원회 지정변경(안) 등 3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이어 민간위원장 주재로 ‘청년정책조정위원회 활성화 방안’도 논의했다.

전북도는 ‘도전과 기회의 전북, 함께 성장하는 전북청년’이라는 비전과 청년참여 기반의 생애주기별 종합정책 추진을 내용으로 하는 '제2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기본계획은 ▲청년 생애주기적 정책 지원 시스템 구축 ▲청년참여형 정책 발굴 및 추진 시스템 구축 ▲데이터 및 수요에 기반한 청년정책 평가 및 모니터링 등을 골자로 변화된 청년정책 기조를 반영하고 청년정책 실효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수립됐다.

특히, 일자리·창업 중심이었던 전라북도 청년 정책을 청년 삶 전반에 대한 생애주기별 맞춤 정책으로 조정했다.
청년정책 중간조직 및 청년조직 등으로부터 정책 제안을 받는 상향식 사업 발굴 체계도 마련했다.

‘도전’, ‘기회’, ‘함께 성장’을 방향으로 한 '2023년 청년정책 시행계획'도 발표했다.
올해 전라북도 청년정책은 총 94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전년 대비 580억 원이 증가한 3,165억 원을 투입해 세대별 정책 수요에 맞춰 5대 분야별로 청년정책을 지원한다.

일자리 분야는 진로 탐색부터 자산 형성까지 사업 간 유기적 연계로 노동시장 진입 촉진 및 탄탄한 고용안정 사다리를 구축한다.
주거분야는 학업, 취업, 정착 단계별 맞춤형 정책을 통한 주거 부담을 완화한다.
교육분야는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으로 교육 기회를 보장하고, 미래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지역산업 인재를 양성한다.
복지·문화분야는 경제적 자립 및 청년생활 안정기반을 조성하고 문화 활동 확산을 위한 콘텐츠 창작활동 및 창업을 지원한다.
참여·권리분야는 청년 정책수요 반영 등 거버넌스 구축 및 청년활동 생태계를 조성한다.

조봉업 행정부지사는 “새롭게 수립된 제2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23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마련했다”며 “전북지역 청년이 기회와 성장동력을 얻을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청년이 정책 과정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