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성지의 명성을 되찾기 위한 ‘동리정사(桐里精舍)’ 복원 첫걸음
상태바
판소리 성지의 명성을 되찾기 위한 ‘동리정사(桐里精舍)’ 복원 첫걸음
  • 김종성 기자
  • 승인 2019.03.12 16: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창군, 동리정사 복원 주제로 현안해결 전략회의 열어
예향 고창군이 판소리 성지의 명성을 되찾기 위한 의미 있는 회의를 열었다.
고창군(군수 유기상)은 지난 11일 문화의전당에서 ‘군정현안해결을 위한 전략회의-동리정사(桐里精舍) 복원’을 진행했다.
전략회의에는 유기상 군수와 관련공무원을 비롯해 평소 동리정사 복원 촉구를 주장했던 고창군의회 이경신 운영위원장과 (사)고창오거리당산제보존회 설태종 회장, (사)고창문화연구회 이병렬 지리학박사 등 지역의 역사·문화 전문가가 함께 참여했다.
동리정사는 동양의 세익스피어로 불리우는 동리 신재효 선생이 널따란 집을 자신의 호를 따서 ‘동리정사(桐里精舍)’라고 이름 짓고, 그 안에 소리청을 만들었다. 이후 전국의 소리꾼들을 불러 모아 숙식을 제공하며 그들이 조리 없이 부르는 판소리 사설을 일일이 체계적으로 정리한 공간이다. 현재는 사랑채만 남아 있다.
회의는 동리정사의 ‘복원’과 ‘재현’을 두고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사료를 통한 고증과 발굴로 동리정사를 복원해 후대에 물려줘야 한다는 주장에는 큰 이견이 없었다.
하지만 옛 동리정사 터에 이미 판소리박물관과 군립미술관 등의 자리 잡고 있어 시설물 이전에 상당한 예산이 소요된다. 또 발굴결과 유구(遺構)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문화재구역으로 지정받기가 곤란해 복원에는 상당한 난제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여기에 현실적인 대안으로 사료를 바탕으로 복원에 가깝게 ‘재현’을 하는 방안이 제시 되면서 2시간 넘게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이날 회의는 각계각층의 의견수렴과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민·관·전문가 그룹이 참여하는 ‘(가)동리정사 복원(재현)추진위원회’구성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으며 마무리 됐다.
유기상 고창군수는 “동리정사는 역사·문화 도시인 고창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나타내는 핵심 공간이다”며 “고창읍성 주변 전체를 아우르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