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접근 쉬운 4차 산업혁명 정책 마련 시급
상태바
중기, 접근 쉬운 4차 산업혁명 정책 마련 시급
  • 서윤배 기자
  • 승인 2016.12.05 17: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소기업 대부분이 대기업에서 중소기업 중심으로 재편될 경제구조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 정부 차원의 대응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전국 300개 제조 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실시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인식 및 대응조사’결과 중기 10곳 중 5곳(52.3%)이 ‘전혀 모른다’고 답했으며, ‘들어만 봤다’는 응답이 36.3%, ‘내용을 알고 있다’는 응답은 11.4%에 그쳤다.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제조업 영향에 대해 중소기업 64.0%가 타격을 우려하고 있는 가운데 44.3%가 ‘부품 등 일부 업종’을, 19.7%는 ‘주력제조업 큰 타격’을 염려했다.
그럼에도 중소기업의 준비·대응 정도는 ‘못하고 있다’가 93.7%로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철저히 준비·대응하고 있다’는 0.3%에 불과했다.
4차 산업혁명의 변화 속도에 제조업이 적응 못할 경우에는, 49.7%가 ‘2020년 내’, 40.0%가 ‘2025년 내’로 10곳 중 9곳이 10년 내 제조업 경쟁력 위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중소기업이 예상하는 제조업 혁신 주도국은 ‘미국’(35.3%)이 ‘중국’(33.0%)보다 앞섰으나, 시장 선도국은 ‘미국’(27.3%)보다 ‘중국’(43.0%)을 꼽아, 제조업 강국 주도권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중소기업이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을 높게 평가함에 따라, 지난해 발표된 ‘중국 제조 2025’ 전략이 그린 2025년의 중국의 모습을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소제조업 CEO들은 ‘신소재개발’(40.7%)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장 전략적 육성이 필요한 분야로 꼽았고, 다음으로 ‘AI(인공지능)’가 27.0%, 스마트공장의 핵심인 ‘IoT(사물인터넷)’와 빅데이터·분석이 각각 21.3%, 21.0%로 뒤를 이었다.
또한 이를 대비한 정부 정책방향으로는 절반이 넘는 중소기업(55.3%)이 ‘중소기업이 참여 가능한 방향으로 개편’을 꼽았다.
이어 중소기업 인력난을 반영하듯 ‘창의적 인재 양성’(42.3%)과 ‘ICT융합기술 투자 및 조세지원’(39.3%)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중앙회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경제구조가 대기업 중심에서 중소기업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기업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대응전략 마련과 창의적 인재 양성, 신산업 육성을 위한 법률 정비 및 규제 혁신 등 선제적 뒷받침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