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체계적 관리모델 제시
상태바
전주시, 복지사각지대 대상자 체계적 관리모델 제시
  • 한종수 기자
  • 승인 2014.04.15 1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상자 발굴→지원→자립·자활 3단계 선순환 복지구조 구축

전주시가 대상자 발굴→지원→자립·자활로 이어지는 3단계 선순환 복지구조를 구축, 복지사각지대 대상자에 대한 체계적 관리모델을 제시했다.
앞서 시 복지환경국 생활복지과는 지난 3월 한 달 동안 전주시에 거주하면서 정부의 복지제도 및 복지서비스 대상자 기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복지서비스에 대해 접근하지 못하는 대상자들에 대한 특별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최종 684건을 발굴하고 이 중 142건에 대해 기초생활수급자, 65건은 차상위, 57건은  한부모 책정 등 총 369건에 대한 공적지원을 완료했다.
또한 단전·단수 등 체납액과 긴급의료비 등으로 총 75건, 2600여만원의 긴급복지지원금을 지급했다.
공적지원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315건의 대상자에게는 공동모금회와 연계, 228건 3800여만원을 생계비와 의료비 등으로 지원했으며, 일시적 생계곤란에 놓인 대상자 87건은 독지가의 구호금품 지급 및 종교단체와 연계시켜 지속적인 도움이 이어질 수 있도록 조치했다.
시는 이러한 지원을 위해 대상자 발굴 직후 동 사회복지담당자의 대상자별 욕구분석 작업과 사례회의를 통해 가장 시급한 문제에 대한 선 해결 후, 복지사각지대로의 재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발굴→지원→자립·자활로 이어지는 3단계 선순환 복지구조를 구축하고 지속 관리할 방침이다.
3단계 선순환 복지구조의 내용을 살펴보면 첫 번째 단계로 대상자 발굴 직후, 거주지 동 사회복지담당자를 통한 1차 상담 및 현지조사에 의한 욕구분석 작업을 통해 금전, 정신·가족, 취업·근 문제로 분류, 욕구별 전문 상담사 또는 기관을 연계한 개별적 접근이 이루어진다.
두 번째로 공적부조와 민간영역의 부조를 포함해 지원 가능한 분야를 연계, 금전적 문제뿐만 아니라 신체·정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모색이 진행된다.
3월 특별조사 기간 중에는 19건에 대해 정신건강토털 케어서비스와 방문보건서비스를 연계했으며, 아동구호기관과 민간복지재단에 22건을 연계시켜 신체·정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시는 이달부터 내년 1월까지 추진되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위기가정지원사업에 대해 발굴에서부터 신청까지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자립·자활의 단계에서는 본인 및 가족의 생계비를 마련할 수 있는 지속적 일자리마련 차원에서 희망리본, 자활사업, 사회적기업, 취업성공패키지 등과 적극 연계시키고 이들을 후원할 수 있도록 관련기관 및 전주시고용센터 등과 협조체제를 구축한다.
전주시 안병수 복지환경국장은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대상자들 중 상당수는 과거 지원을 받아 자립했다가 실패해 다시 사각지대로 들어오는 악순환을 겪고 있는 대상자들이 상당수 있다”며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통해 자립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민·관이 연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복지사각지대 특별조사기간은 끝났지만 복지사각지대 발굴추진단을 연중 운영하고 특히 9개 권역의 희망보드미센터에서 재원을 마련해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할 방침”이라면서 “재원마련 방안은 단체등록후 모금활동을 전개하는 방법이 우선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종수 기자 press738@naver.com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