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行政首都)확장 아닌 ‘분산’이 답이다
상태바
행정수도(行政首都)확장 아닌 ‘분산’이 답이다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17.04.30 1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16대 노무현정부가 추진했던 신행정수도 이전사업이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이는 국가 중추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해 기능 및 민간 부문의 여러 기능을 분산시켜, 수도권의 교통혼잡·인구과밀·환경오염 등 각종 사회적 비용을 줄여 결과적으로 국토균형발전에 그 목적을 두고 있었다.
2004년 1월 16일 신행정수도특별법을 포함한 3대 특별법을 공포하고, 같은 해 4월 17일 특별조치법 및 시행령을 시행했다. 이어 6월 15일 진천·음성, 천안, 연기·공주, 공주·논산 등 4개 후보지를 선정·발표한 뒤, 후보지 평가위원회의 평가를 거쳐 연기·공주 지역을 신행정수도 입지로 최종 확정했다.

행정수도 건설이 신행정수도 건설특별법에 대한 위헌결정으로 헌법을 개정하지 못한 채 후속조치로 세종특별시에 다양한 정부기관이 내려가게 됐다. 수도권에 치우친 인구 및 경제력을 분산시켜 인구과밀화를 막고 국토의 고른 균형발전에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당초 행정수도건설에 전북도민의 한 뜻은 익산과 논산을 경계로 이루어져야 국토균형발전임을 내세웠지만 결국 신행정수도 입지로 연기·공주 지역이 확정된 것은 대전·청주에서 가깝고, 국가 균형 발전 효과, 국내외 접근성,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 삶의 터전으로서의 자연조건 등이 다른 지역에 비해 우수하다는 이유를 들었다.
◆국토의 균형발전 ‘분산’이 완성이다.
하루 일일생활권을 갖게 된 현재의 국토는 교통, 입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지역 간 불균형을 억제하고 핵심기관이 밀집될 경우 예기치 못한 사고에 대비해 분산이 답인 것이다.
현재 익산시와 논산시를 경계를 두고 현재 세종시의 기능을 분산할 필요가 있다. 3군사령부가 있고 대한민국 핵심기관들이 산재해 있어 이를 분산시켜야 설득력이 있다. 이번 대선과정에서 국민의당이 세종시를 확장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집적화가 아닌 분산해야 전북 북부권의 발전을 약속할 수 있을 것이다.
‘상생과 도약’, ‘국민통합’이란 전제를 두고 현재 세종시의 확장하는 것은 또 다른 국토의 불균형인 것이다. 현재 세종시는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로 출범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