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살처분 참여 외국인 감염 관리 '사각지대'
상태바
AI 살처분 참여 외국인 감염 관리 '사각지대'
  • 서윤배 기자
  • 승인 2017.01.31 1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동원 467명 중 345명 연락처·거주지 불분명… 고위험군 사후관리 '엉망'

AI(조류인플루엔자)살처분에 참여한 외국인들의 감염 관리실태가 허술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위성곤 의원(민주당)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11월 AI 발생 이후 살처분에 참여한 인력은 모두 1만6,715명이다. 이 가운데 외국인은 4,773명으로 그 비중이 29%에 이른다.

AI 살처분에 참여한 인력들은 인체감염 우려가 높아 고 위험군으로 분류된다. 보건당국은 이들에 대해 부작용이나 감염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신속한 치료와 전염병 확산방지가 가능하도록 모니터링(능동감시)을 실시하고 있다.
AI 인체감염 예방 및 관리지침에 따르면 모니터링은 살처분 등으로 AI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5일째와 10일째 되는 날에 전화로 실시된다.
하지만 AI 살처분에 참여한 외국인 4,773명 중 193명은 입력된 전화번호가 아예 없다. 주소가 없거나 주소가 중복된 수도 각각 663명, 2,879명이다.
전북의 경우 총 467명의 외국인이 살처분에 참여한 가운데 입력된 전화번호가 없거나(1명) 전화번호 중복 127명, 주소 중복 입력된 수도 217명이나 된다.
이는 용역업체나 가족, 동료 등의 전화번호를 공동으로 적어 놓은 경우라는 것이 질병관리본부 측 설명이다. 이 경우 직접 연락할 수 있는지 여부가 불분명하다.
직접 외국인 살처분 참여자와 연락할 수 있다 하더라도 그 다음은 의사소통이 문제다.
위 의원이 지역보건소들로부터 제출받은 ‘외국인 노동자 투입의 문제점’을 보더라도 언어장벽으로 인한 모니터링 및 현장교육의 어려움이 다수 지적되고 있다.
특히 김제시 보건소는 "능동감시 시 의사소통에 문제가 많아 살처분 참여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지역보건소들은 개인연락처의 부재 및 거주지 불분명 등으로 인한 모니터링의 어려움과 관련 제도의 개선 등을 호소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지난해 12월 20일에야 고위험군 관리조사서를 전산입력 하도록 했고, 그 이전에 수기 작성된 조사서도 뒤 늦게 전산화하고 있지만 아직도 수정·보완이 마무리되지 않아 금지되는 AI 예방약의 장기복용 여부를 완전히 파악하기 어렵다.
위 의원은 "연락처 및 소재 파악 등이 어려운 인력의 살처분 참여를 배제하고 정부·지자체가 인력은행 등을 상시 구축해 AI·구제역 발생 시 즉시 투입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