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범죄 뿌리 뽑아야 한다
상태바
보복범죄 뿌리 뽑아야 한다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13.05.09 17: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에 성폭행하려던 여고생이 자신을 고소한데 앙심을 품고 해를 저지른 범인이 붙잡혀 실형을 선고 받았다. 그것도 집행유예 기간에 수십차례나 협박전화를 일삼았고 불안에 떨게 만들었던 범인이다.
아직 성인도 되지 않은 여고생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안겨주고도 되레 억울하게 고소당했다고 보복을 한 것이다.

이 범인은 지난해 7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위반죄로 징역 2년6월에 집행유예 4년이 확정됐다.
몇달 전인 지난해 12월에도 자신을 성폭행으로 신고한 여성을 찾아가 감금과 보복성폭행을 당한 일이 있었다. 또 한 전과자가 재판 과정에서 자신의 범행 사실을 증언한 지체장애 여성을 찾아가 잔혹하게 보복 살해한 일도 있었다.
재판에 증인을 잘못섰다가 협박당하는 일도 많다고 한다.
2005년 제정한 범죄피해자보호법은 형사소송 과정에서 한 진술이나 증언으로 보복을 당할 우려가 있을 때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적절한 보호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법이 있어도 보복 범죄는 2006년 70건에서 2011년 122건으로 계속 늘었다.
보복 범죄의 대상이 된 사람들은 주로 여성, 장애인, 아동 등 사회적 약자여서 더 안타깝다.
미국에선 1982년 연방정부에서 ‘피해자 및 증인보호법’을 제정해 범죄 피해자와 증인이 피의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기존의 사회보장번호(주민번호에 해당)를 없애고, 새 이름과 새 신분증, 새집, 새 일자리 및 생활비까지 지급되고 성형수술비용까지도 지급한다. 또 법무부장관의 승인없이 증인의 정보를 누설한 사람은 5천 달러 이하 벌금이나 5년 이하의 형에 처해진다.
다른 주로만 넘어가도 신원을 잘 찾을 수 없는 미국과 달리 작은 우리나라는 사정이 다르다. 그런 만큼 범인으로부터 증인에 대한 보호가 더 철저해야 한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