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성심여고 2학년 황시연(교지 옥잠화 편집부)
1인당 연간 플라스틱 배출량 208kg로 세계 1위인 우리나라는 플라스틱 문제에 직면해 있다.
100년 전만 해도 플라스틱은 코끼리 상아를 대체하는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으며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분해에 500년이 걸리고, 매립하거나 소각할 때 온실가스를 발생시켜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받고 있다.
‘플라스틱 재활용’이라는 대안과 분리배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 상황은 녹록지 않다. 아파트 분리수거장에서는 비닐 라벨이 제거되지 않은 음료수병, 기름기 있는 일회용 용기 등 재활용이 어려운 상태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재활용 업체는 인건비 상승으로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플라스틱을 재분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토로한다.
2021년 기준 한국의 플라스틱 재활용률은 27%에 그치고, 생활용품의 재활용률은 16.4%에 불과하다. 1인당 연간 플라스틱 배출량은 208kg로 OECD 국가 평균의 4배에 달한다.
재활용 기술 발전도 중요하지만, 플라스틱 사용 자체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환경 문제는 우리의 생활을 넘어 지구 온난화와 기상이변 같은 예측 불가능한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으며, 이제는 모두가 행동해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전북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