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경찰서 경리계 김양미

우리가 일상적으로 차량 운전 중 방향지시등은 도로에서 운전자 간의 의사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로에서 운전자 간 최소한의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위험해질 수밖에 없고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은 한층 더 증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와 관련 도로교통법에서는 모든 차의 운전자는 좌회전·우회전·횡단·유턴·서행·정지 또는 후진하거나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진로를 바꾸려고 할 때에는 손이나 방향지시기 또는 등화로써 그 행위가 끝날 때까지 신호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위반 차량 운전자에게는 범칙금을 발부하고 있다.
이런 단속을 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교통안전을 위해서라도 교통 법규를 준수하는 운전자의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자동차 운전 중 기분 좋은 양보운전을 받기도 하고 무례한 운전에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어느 날 기분 좋은 양보운전을 받으면 마음마저 상쾌해진다. 반면 뒤에서 경적을 누르고 소리소리 지르는 운전자를 만나면 그날 온종일 기분 나쁜 경험들이 있을 것이다.
자동차 운전 중 도로 1차선은 추월선이지 주행선은 아니다. 그런데 빠른 속도로 주행하지 않으면서 줄기차게 1차선을 고집하고 달리는 자동차를 보면 가슴이 답답하다.
반면 추월하기 위해 1차선으로 들어갔다가 목적을 이룬 후 2차선으로 들어가는 운전자를 보면 아름다운 질서를 목격하는 것 같아 기분까지 좋아진다.
우리가 일상적인 생활에서 자동차 운전 중 위법행위를 따지기 전에 잠시 기다려주는 양보운전 타인에게 배려운전 하는 의식이 필요할 때이다.
저작권자 © 전북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