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성배 주필
얼마 전 민주노총 등이 서울 한복판에서 벌인 대규모 시위 구호 중의 하나는 ‘친일독재 미화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였다. 그리고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한 일간지에 연재한 회고록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1962년 11월 미국에서 로버트 케네디 법무장관을 만났을 때다. 나는 처음에 다소 건방진 태도를 보인 케네디 장관을 향해 당신네 나라가 우리 한반도를 지구상에서 가장 비참한 분단의 아픔을 안게 한 원인을 만들었소”라고 따졌다. 그가 “그 원인이 무엇이오?”라고 묻기에 이렇게 답해줬다. “38선을 누가 만들었소. 딘 러스크 육군 대령이 긋지 않았소. 왜 아무 죄 없는 한국을 반으로 갈라놓았느냐 말이오. 로버트의 형 존 케네디(JFK) 대통령 정부에서 우리를 분단시켜 싸우게 만든 것이 바로 미국이오.”
일본이 항복한 날 미군 최선봉 부대는 한반도에서 남쪽으로 1000km나 떨어진 오키나와에 있었기 때문에 미군이 소련군 보다 먼저 한반도에 들어갈 가능성은 제로였다. 그때 소련군은 이미 함경도를 통해 한반도에 들어오고 있었고 일주일 정도면 부산까지 밀고 내려갈 수 있었다. 이를 우려한 미국은 소련에게 38도선까지만 내려와 북한 지역에서만 일본군의 항복을 받으라고 제의했던 것이다. 넓은 지역에 흩어져있는 일본군으로부터 언제 어디서 항복을 받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 미국무부와 국방부는 의견이 달랐다.
1990년에 출판된 딘 러스크(Dean Rusk) 회고록 As I Saw It (내가 본대로) 124쪽에 이렇게 적혀있다. 국무부는 중국 본토의 가능한 한 북쪽에 일본군의 항복을 받아 만주의 주요 지점들이 우리 점령지역에 들어가도록 하기를 바랐다. 그러나 육군은 우리 군대가 아주 조금 있거나 거의 없는 지역들은 아예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했다. 사실은 아시아 대륙에 들어가는 것 자체를 육군은 원하지 않았다.그러나 우리는 아시아 대륙에 상징적으로 군대를 좀 유지한다는 차원에서 한반도에 발판 같은 걸 하나 마련해 두기로 했다.
일본이 항복한 바로 그 날인 (미국 동부시각) 8월14일 늦은 밤 (국방부작전 국 정책과장) 찰스 본스틸 대령과 나는 (국무부, 국방부, 해군이 합동회의를 하고 있던 회의실)옆방으로 자리를 옮겨 한반도 지도를 자세히 보았다. 급박한 상황에서 우리는 미국이 점령할 지역을 선택해야하는 막중한 임무를 맡고 있었다.
(중략) National Geographic 잡지사가 만든 지도 한 장을 놓고 우리는 서울 바로 북쪽에서 한 편리한 경계선을 찾았으나 지리적으로 자연적인 선을 찾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우리는 북위 38도선을 건의하기로 결정했다. 국무부, 국방부, 해군 협의회는 우리 건의를 별다른 이의 없이 받아들였고, 놀랍게도 소련 역시 이의 없이 동의했다. 당시 미국과 소련 양국 군대가 위치한 지점을 고려한다면 소련이 38도선 보다 훨씬 더 남쪽의 선을 요구할 지도 모른다고 나는 생각했었다.
러스크의 이 증언을 보면, 일본과의 4년 간 전쟁에 지친 미국 군부는 아시아 대륙에 들어가는 것 자체를 싫어했으나 국무부가 우겨서 한반도에 들어가기로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리고 가능한 한반도 북쪽에 선(線)을 그어 소련의 한반도 전체 점령을 막으려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미국 군부의 희망대로 그때 한반도에 미군을 보내지않았더라면 소련군은 한반도 전체를 다 점령하고 소련군 대위 출신 김일성(당시 33세·본명 김성주)을 앞세워 소련의 위성국가로 만들었을 것이 뻔하다. 실제로 소련은 당시에 나치 독일로 부터 해방된 東유럽 여러나라 전부를 소련의 위성국으로 만들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때 미국이 38선을 그은 것은 우리 한민족에 엄청난 행운이었다.
저작권자 © 전북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