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선호 경향 지속, 내년 대선 흔드나
상태바
진보 선호 경향 지속, 내년 대선 흔드나
  • 투데이안
  • 승인 2011.05.16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2년 이후 한국사회의 이념 성향이 보수에서 진보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례가 창간 23주년을 맞아 지난 7~8일 조사, 16일 보도한 국민 이념성향 조사결과에 따르면 일관된 진보(27.0%)의 비율이 일관된 보수(21.3%)의 비율보다 약간 높았다.

특히, 우리 국민은 우리나라를 이끌어 가야 할 정당으로 진보정당(34.8%)을 보수정당(18.5%)이나 중도정당(22.5%)보다 더 많이 꼽았다.

보수정권인 이명박 정부가 친서민정책을 주장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강조하며, 공정사회 건설을 국정과제로 내세우는 것도 변화와 개혁을 선호하는 국민의식을 반영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한나라당의 참패로 나타난 지난 4·27 재보궐선거 이후 한나라당 안에 변화와 개혁의 바람이 일고 있는 것 한국 사회의 심리적 진보 편향성을 반영한 정치 행태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한국 사회의 진보 편향성을 곧바로 야당 지지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2007년 조사에서 일관된 진보(30.3%)가 일관된 보수(20.8%)보다 훨씬 많았으나, 그해 12월 대선에서 보수 후보인 이명박 후보가 크게 이겼기 때문이다.

자신의 이념 성향이 진보라고 답한 비율은 자신이 소득 상위층에 속한다는 응답자 (37.9%)에서 가장 높았고, 중간 소득자(33%), 하위 소득자(24.0%)라고 답한 이들로 갈수록 줄었다. 부자일수록 보수적이고, 사회적 약자일수록 진보적이라는 통념과 다른 결과다.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연구진은 한국 사회에서 진보와 보수의 구분이 경제적 계급에 기반을 두기보다는, 문화적·사상적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20대에선 39.2%가 자신의 이념 성향이 진보라고 답했다. 보수라고 답한 20대는 14.3%에 그쳤다. 30~40대에서 진보라고 응답한 사람은 각각 37.7%, 33.0%였고, 50대에선 이 비율이 20.8%로 크게 줄었다.

부산·경남의 진보적 성향(33.3%)이 전국 평균(30.7%)보다 높았다. 호남(38.9%)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반면, 대구·경북 유권자는 진보적 성향이 24.6%에 그쳤고, 보수적 성향(31.2%)은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우리 국민의 이념 성향이 사회적 약자에 대해서는 갈수록 진보 성향이 두드러졌지만 외교·안보 사안에선 보수 성향이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북 지원, 한·미 관계, 성장론과 분배론, 외국인 노동자 인권,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이다. '기업에 다소 부담이 되더라도 비정규직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에 83.8%가 찬성했다. 2007년 조사 때보다 4.7%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우리가 다소 불이익을 당하더라도 외국인 노동자의 인권은 반드시 보장돼야 한다'는 견해에 대한 찬성(87.1%)도 반대(12.9%)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정부는 세금을 더 거둬서라도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에 대한 찬성 비율은 올해 조사에서는 66.5%로 크게 늘었다.

분배론(31.1%)보다 성장론(66.9%)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등 2002년 조사 이래 지속돼 온 '성장 중시론'은 여전했다. 다만, 성장을 중시하는 응답 비율이 2007년(78.3%)보다 크게 줄어든 것이 눈에 띈다.

그러나 대북·대미 관계에서는 보수화 성향이 갈수록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족적 차원의 대북 지원 확대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35.3%로, 2002년(58.9%)과 2007년(39.1%)에 이어 계속 감소했다.

이와 함께 '한반도 안보 문제와 관련해 우리와 의견이 다르더라도 우방인 미국의 의견을 따르는 편이 낫다'는 의견에 대한 찬성 비율도 2002년 20%, 2007년 42.4%, 45.8%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천안함, 연평도 피격 사건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됐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