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속 없이 소리만 요란했던 U턴기업 지원책
상태바
실속 없이 소리만 요란했던 U턴기업 지원책
  • 서윤배 기자
  • 승인 2017.10.15 19: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혜 정부, 최대 38만개 일자리 창출 약속했지만…실제 830여개 불과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였던 U턴기업 지원정책으로, 국내에 돌아오겠다고 약속한 해외기업 중 절반 이상이 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년 전 최대 38만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전망했지만, 실제 창출된 신규 일자리는 830여개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국회 산자중기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정부의 U턴 종합대책이 발표된 2012년 4월부터 올해 7월까지 U턴 의향을 밝히고 자치단체와 MOU를 체결한 기업은 총 87개사다.
그러나 실제로 국내복귀기업(U턴기업)에 선정돼 투자가 진행 중이거나, 조업 중인 기업은 41개사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로 인한 신규 일자리 창출은 837명에 그쳤다. 특히 U턴을 선도한 부산의 신발업체와 전북의 주얼리업체의 경우, 당초 49개 기업이 MOU를 체결했으나, 현재까지 21개 기업만 실제 투자를 결정한 상황이다.
더욱이 투자 의향을 밝힌 기업 수는 2012년 21개에서, 2013년 30개로 늘더니, 2014년 16개, 2015년 9개, 2016년 9개로 대폭 줄었고, 올해는 7월 현재 2개에 불과하다.
2013년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U턴기업 지원법)이 제정될 당시, 박근혜 정부는 중국에 진출한 우리기업의 현지 생산액 중 국내 U턴 비중이 10% 일 때, 2017년까지 국가 생산액이 30조원 늘고, 8만5,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U턴 비중이 45%일 때는 국가 생산액이 133조원 늘고, 38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했다.
U턴기업 지원법 제5조에 따라 산자부는 ‘국내복귀기업 지원계획’을 수립해 시행하도록 돼 있다. 이 계획에는 △업종별 국내복귀 수요에 관한 사항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활성화 방안 △국내복귀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관한 사항 등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데, 지난 4년간 이 계획은 수정·변경 등 업데이트된 적이 없다.
동법 시행령 제5조에 따라 기재부·외교부·법무부·고용노동부·국토부·중기부 등 관계부처 간 지원정책을 조율하기 위해 산자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내복귀기업지원위원회’를 두고 있으나, 이 역시도 지난 4년간 단 한 번의 회의도 열린 적이 없다.
박재호 의원은 “박근혜 정부의 U턴 정책은 실속은 없고 소리만 요란했다”며 “국내투자 활성화 없이는 지속적인 성장과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상황인 만큼, 산자부는 보다 적극적인 U턴 수요발굴과 유치를 위한 지원책 강화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