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자체, 현실적인 귀농정책에 중점 둬야
상태바
전북지자체, 현실적인 귀농정책에 중점 둬야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15.10.28 1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귀농·귀촌 인구는 최근 40대의 조기 퇴직과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농촌지역의 인구유입 정책 등과 맞물려 전북은 물론 전국적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전라북도는 민선6기 4년 동안 1천억원을 투입해 귀농·귀촌 인구 2만명을 유치한다는 목표로 △종합적 지원체계 구축 △단계적 주거 정착 지원 △안정적 소득 창출 △상생화합 프로그램 활성화‘귀성·귀촌 발전대책’을 마련했다.

전북은 지난 2010년 611가구에서 2011년 1,247가구, 2012년 2,282가구, 2013년 2,993가구, 지난해에는 4,285가구로 5년 동안 귀농·귀촌인구가 무려 7배나 늘었다.
귀농·귀촌 인구가 가장 많은 전북 고창군과 완주군은 귀농·귀촌인의 유입으로 인구 감소세가 완화되고 사회·경제적 역동성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귀농·귀촌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도시로 돌아가는 역귀농 세대 또한 상당수에 달한다.
2010년부터 2012까지 귀농·귀촌한 총4,086세대 중 8.9%(365세대)가 역귀농했으며 그 사유는 부족한 소득과 영농기반 부족이 가장 컸다.
민선6기 ‘사람들이 찾아드는 농촌 육성’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잘 살펴야 한다.
역귀농 세대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를 매년마다 필요하다. 귀농·귀촌에만 열을 올릴 것이 아니라 이들이 정착할 수 있는 다각적인 정책개발을 통해 역귀농도 막아야 한다.
도시민들이 뿌리내리지 못하고 다시 돌아가지 않도록 역귀농 세대에 대한 실태파악과 대책을 마련해 귀농정책에 반영해야 한다.
전북지역의 시군별 귀농·귀촌 인구에 큰 격차를 나타내고 있다. 지역별 특성을 살린 독창적인 귀농·귀촌 프로그램이 분명 필요해 보인다.
지난해 고창군은 862세대, 완주군이 747가구로 가장 많이 이주했지만 동부권 무주, 진안, 장수를 비롯해 순창군 지역은 상대적으로 귀농귀촌 가구가 적었다.
고창군은 토지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지속적으로 귀농인의 유입이 늘고 있으며 완주군은 최근 전북혁신도시 조성 등으로 인한 정주 여건 개선 때문이다.
귀농·귀촌은 주거와 교육, 소득 등 3박자가 고루 갖춰져야 하기 때문에 도내 시군별로 지역의 여건에 맞는 귀농·귀촌 프로그램을 개발해 보다 적극적인 홍보와 유치활동이 중요하다.
또한 2014년 전북 귀농·귀촌 인구 중 귀농전 거주지역으로 수도권 지역 주민들이 48.1%를 차지하고 연령대도 40~50대가 무려 55%이상에 달한다.
수도권 지자체와 연계해 40~50대를 대상으로 한 귀농·귀촌 홍보 강화 및 유입 대책마련도 필요하다.
향후 은퇴자가 많아지고 기대 수명도 늘어나면서 도시인들의 귀농·귀촌 현상이 더욱 가속화 될 전망하는 기대치가 높다.  
귀농·귀촌 인구를 늘리는 양적인 확대 정책엔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도내 지자체들은 이들이 농촌사회에 제대로 정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더 고민하고 반영해 줘야 할 것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