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 정부 대책 절실
상태바
치솟는 물가 정부 대책 절실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13.02.17 15: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번 설 연휴 최대 관심거리는 '물가'였다. 경기 침체 속에 치솟은 물가로 차례상 차리기가 힘겨웠기 때문이다. 물가에 대한 불만은 민심에서도 확연히 드러났다. 소비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저소득층은 물론 부자들도 좀처럼 지갑을 열지 않고 있다. 지난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득 대비 소비지출은 관련 통계 작성 후 처음으로 60% 밑으로 떨어졌다. 살림살이가 팍팍하다는 얘기다. 이런 가운데 최근 정부가 물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밝혀 현실과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는 지난 1년 간 1.5% 오르는데 그쳐 3개월 연속 1%대 안정세를 유지했다.하지만 서민들의 체감온도는 여전히 한겨울이다. 문제는 서민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품목인 식료품과 같은 체감물가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큰 폭으로 오르면서 서민들의 가계에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올들어 한파와 폭설로 인해 농산물 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전기·수도·가스·교통 등 공공요금까지 들썩이며 소비자 부담을 늘리고 있다. 최근 통계청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1월 경제동향에서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1.5%의 낮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3개월 연속 1%대의 안정세 유지하고 있다.하지만 지표물가의 안정세에도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물가는 커져 정부 발표가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불만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생활에서는 이런 효과를 전혀 느낄 수 없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소비자물가 지수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가장 큰 문제다. 서민가계에 직결되는 농산물, 전기·수도·가스, 전세 가격은 전년동월대비 8.7, 4.4%, 3.7%가 각각 상승했다.품목별로는 농산물중 배추(232.2%), 당근(123.1%), 파(91.6%)가 폭등했다. 갑작스런 한파와 폭설로 농작물의 출하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도시가스와 전기료, 지역난방비도 4.7%, 4.2%, 7.0%씩 올랐다. 또 시내버스, 전철, 하수도 요금 같은 공공요금도 6.0%, 12.5%, 14.0%가 각각 비싸졌다. 전세는 작년보다 3%, 월세는 2% 오르면서 전체 집세는 3% 올랐다.이런 분위기는 고스란히 내수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경제동향 전망에 의하면 우리 경제는 소비가 다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고용 둔화와 소비 부진에 따른 내수경기 침체가 우려할 수준이라는 진단까지 내놨다. 이와 관련해 정부도 가뭄, 폭설, 한파, 곡물가 상승 등이 물가를 불안정하게 해 국민들이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다 며 사실상 물가를 잡는데 실패했다는 점을 인정하기도 했다.전문가들은 내수경기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공공요금 인상 압력이 더해지면서 올해 소비자물가는 연간 2.5%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서민생활에 직결되는 생활물가 상승률은 지난해보다 0.5% 높은 5% 수준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잇다.
이에 따라 새정부는 '물가안정'을 1순위 과제로 삼아야 한다.박근혜 정부 출범을 앞두고 공공요금이 줄줄이 인상되고, 내수부진에 가계부채 증가까지 더해 새 정부의 경제운용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차기 정부가 앞으로 물가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에 관심이 크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