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성배 주필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하면서 산업계의 인력수요와 대학의 공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지난해 4년제 일반대학 졸업생 중 인문계는 43.5%인 반면 이공계는 37.7%로 나타나 인문계 졸업자가 5.8% 더 높았다.
한국의 대학이 시대의 흐름을 적시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이공계에 대한 투자의 빈곤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공계에 대한 대학의 투자는 소위 재정여건이 어렵다는 이유로 시대적 흐름에 지체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반도체 인력수요는 연 1만 명인데 반해 대졸 전공자는 20%도 안 된다는 보도가 있다. 2차 전지와 로봇분야도 인재 가뭄이 극심한 상황이다. 미국의 대학은 시대조류를 이끌어 가고 있으나 한국의 대학은 뒤따라가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일례로 스텐포드대학은 컴퓨터공학과의 정원을 2008년도 141명에서 2022년도 745명으로 604명을 증원 시켰다. 반면 서울대학은 같은 기간에 55명에서 70명으로 15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한국 대학이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은 통계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고등교육에 대한 국가 차원의 빈약한 투자는 대학으로 하여금 산업계의 수요를 제때 반영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하고 있으며 결국 시장과 대학이 일체화되지 못하고 따로 노는 혼란된 상황을 만들어 내는 원인이 되고 있다.
대학의 위기를 느낀 정부는 인공지능(AI)이나 반도체 등 첨단학과의 정원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올해 내에 대학 운영 규정을 완화 시킬 예정이다. 기초과학이나 이공계의 역량을 키우기 위한 교육·연구 등을 강화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대학교육의 혁신을 이끌 계획이다. 지역별 특성에 따라 강소대학을 육성하여 지역혁신의 중심대학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으로 보인다.
대학의 특성과 관계없이 획일적으로 진행되었던 평가방법도 개선하여 대학의 에너지 낭비를 줄이겠다고 한다. 상당 부분 대학의 위기를 헤쳐나갈 수 있는 긍정적인 신호로 보인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재정투자도 제도적으로 개선이 되었다.
대학에 대한 재정적 투자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법이 지난해 말 통과되었다. 당장의 산적한 모든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는 없지만 해결의 기회를 잡았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싶다.
올해부터 한국의 고등교육은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이 변화를 국가 경쟁력 상승의 바탕이 될 수 있도록 정부와 대학이 힘을 모아 나가야 한다. 세계적 조류의 흐름에 편성하여 앞서갈 수 있는 한국의 대학이 되기 위한 답은 지속적인 투자와 혁신 속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제는 실천만이 남아 있다.
저작권자 © 전북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