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농가 도산위기 대책시급하다
상태바
양돈농가 도산위기 대책시급하다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13.03.03 18: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양돈농가들이 돼지 값 폭락으로 도산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를 막을 수 없는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것이 농가들을 더 힘들게 하고 있다. 전북지역의 양돈농가들도 예외일 수 없다. 전북농협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서는 1,000여 농가에서 돼지145만두를 사육하고 있다.
적정 사육두수 120만두에 비해 20만두가 더 늘었고 가축사육두수 증가와 국제 곡물가 인상으로 사료값이 크게 올라 축산농의 경영이 어려워지고 있다. 여기에 경기침체로 인한 축산물 소비둔화로 축산농가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돼지고기 삽겹살 100g 기준 가격은 1천400원에 판매되고 있다. 2011년 5월에는 2천350원이었다. 이때보다 가격이 60% 가량 폭락했다. 이렇다보니 농가들은 계속 오르는 사료값에비해 돼지가격 폭락으로 생업위기에 처해있다.
최근 한돈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이달 현재까지 약 6개월간 전국 한돈농가 6천여 곳의 적자 규모는 6천439억원으로 집계됐다. 농가 한 곳당 1억600만원의 적자를 기록한 셈이다. 최근 돼지 도매가격이 생산비 아래로 급락했기 때문이다. 이는 생산비를 1㎏당 4천300원으로 잡고 도매가격과의 차액을 계산한 것이다.농가의 적자는 돼지고기 가격 하락과 흐름을 같이한다. 한돈협회가 조사한 돼지고기 값은 지난해 8월 ㎏당 평균 4천139원에서 9월 3천645원, 10월 3천45원, 11월 3천514원, 12월 3천282원, 올해 1월 3천3원 등으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이달 들어서는 지난해의 절반 수준인 ㎏당 2천857원선까지 떨어졌다. 이는 한 마리를 도축할 때마다 12만원의 적자를 농가가 떠안아야 한다는 뜻이다. 당분간 가격 반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도 양돈 농가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여기에다 지난달 돼지 도축두수가 147만두로 월간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데다 돈육 수입량도 전달보다 34.7%나 급증한 2만7천t에 달해 비축 물량이 넘쳐나는 상황이다. 유통업계는 2011년 구제역 파동 이후 수입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도 거의 사라진 상황이지만 수입 물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일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한돈협회는 기업농을 포함한 협회 가입 농가에서 모돈을 10% 감축하고 불량 자돈을 조기 도태시키는 등의 안건 등을 검토하고 있다. 사료업체들도 사료가격 동결을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마릿수 감축문제와 관련해 전체 양돈농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1천마리 이하의 중소규모 농가들은 피해의식을 갖고 있는 듯하다. 이들은 현 상황에서도 양돈 대기업들은 농가의 어려움을 외면하고 마릿수를 늘리고 있어 소규모 농가들만의 마릿수 감축으로는 돼지고기 가격 정상화는 어렵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대기업의 마릿수 감축을 강제할 것을 정부당국에 촉구하고 있다. 사실 양돈산업 안팎의 사정을 꼼꼼히 들여다보면 하루라도 빨리 마릿수 과잉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더 큰 위기상황이 닥칠 수 있다는 경고음이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수도권의 냉동 창고마다 재고량 통계치가 잡히지 않을 정도로 수입육이 넘친다. 국내 돼지고기 주요 수입국인 유럽연합(EU)·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관세가 매년 떨어지고 원·달러 환율도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올해 수출국들의 공세가 더욱 거셀 것이란 전망이다. 유럽보다 낮은 생산성, 미국보다 높은 생산비와의 심화된 경쟁구도도 우리 농가들의 입지를 더욱 좁히고 있다. 국책연구기관에서조차 2~4월 돼지 값은 생산비에서 ㎏당 450~900원 빠진 3천100~3천550원에 형성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현재의 돼지값 하락에는 정부가 지난해 무관세로 돼지고기를 대량 들여온 게 적잖은 영향을 미친 것도 사실이다. 그런 정부가 마릿수를 줄이라고 하니 농가로선 발끈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급한 불부터 끄기 위해선 일단 양돈농가 모두가 동참해 사육마릿수부터 안정시켜 놓고 볼 일이다. 그러나 가격 하락이 이어진다면 농가 상당수가 도산할 수밖에 없다. 정부와 농가가 힘을 합쳐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고 보여진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