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 중 가장 지속가능한
도시 선정 ‘안전·평화 도시’
‘포용적인 도시’ 지표 강점
생애 주기별 맞춤 복지 호평
도시 선정 ‘안전·평화 도시’
‘포용적인 도시’ 지표 강점
생애 주기별 맞춤 복지 호평
국내 비수도권 기초자치단체 중 전주시가 가장 지속가능한 도시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됐다.
올해 유엔 해비타트 한국위원회 주관으로 실시한 ‘도시의 지속가능성 조사’에서 비수도권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지속가능한 도시’로 선정됐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K-UMF’라는 한국형 도시 모니터링 지수로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한 이번 조사는 안전과 평화, 포용성, 회복력 등 38개 지표를 기준으로,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시민의 삶의 질을 분석했다.
시는 이번 K-UMF 조사에서 전체 38개 지표 중 25개 지표에서 강점을 나타내 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는 데 국내외 다른 도시들과 비교해 강점이 많은 우수도시로 평가됐다. 이는 전주가 국내외 다른 도시들보다 전반적으로 안전하고, 시민 삶의 질이 높은 도시인 것을 의미한다. 특히 국제연합(UN)의 4대 도시 의제 중 ‘안전하고 평화로운 도시’(88.9점)와 ‘포용적인 도시’(70.4점) 지표에서 강점을 보였다.
평가 중 온종일 아동돌봄 확대부터 어르신 병원동행 서비스 시행 등 생애주기별 전주형 맞춤형 복지를 지원하고 있으며, 치매안심마을 확대 및 치매안심병원 운영을 통해 탄탄한 안전·복지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점 등이 높은 평가를 이끌었다.
이에 우범기 전주시장은 “저출생·고령화와 급격한 기후변화 등 다가올 미래의 위기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해법은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높여나가는 것”이라며 “미래세대들이 희망을 품고 도전할 수 있는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