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군산대학교 박물관(관장 박시균 국어국문학과 교수)이 군산대학교 캠퍼스 내 인공동굴에 대한 ‘굴삭조사 개토제’를 성료하고 본격적인 굴삭조사에 착수했다.
지난 26일 진행된 개토제에는 이장호 군산대학교 총장과 보직자, 문승우 전라북도의원, 김우민 군산시의원, 군산시 관계자 및 학교 구성원, 지역민 등 다수가 참여했다.
군산대학교는 국립대학육성사업비 7400만원을 투입해 인공동굴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지난 1월부터 진행한 지표 물리탐사를 통해 인공동굴의 동공의 범위를 확인했고, 위치가 특정되지 않았던 7호 동굴의 위치를 찾아내는 성과를 거두었다.
군산대학교는 현재 상태가 양호하고 내부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된 1, 2, 7호 동굴의 굴삭조사를 실시하고, 굴삭조사 후 안전점검을 통해 내부 진입이 가능한 동굴은 3D스캔 등 내부 정밀조사를 통해 정확한 기록을 남길 계획이다. 또한 임시 개폐시설을 설치해 지속적인 연구를 할 계획이다.
6·25전쟁 민간인 학살터로 사용됐던 6호 동굴은 대부분 무너져 발굴조사에 준하는 조사를 실시한다. 이 동굴은 과거사 정리를 위한 진실화해위원회의 유해매장 추정지 실태조사 및 유해발굴 중장기 로드맵 수립 조사 용역 최종 보고서(2021)에 잠재적 발굴 가능지로 선정돼, 위원회와의 협의를 거쳐 이번 조사를 실시하게 됐다.
인공동굴에 대한 조사는 태평양전쟁 당시 군산의 군사적 역할과 조선인 강제 동원 등에 대한 연구와 6·25전쟁 민간인 학살에 대한 연구 자료로서 매우 중요하며, 교육자원으로서의 활용과 보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의 미룡캠퍼스가 자리하고 있는 곳은 관여산으로, 관여산은 군산의 서쪽에서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서해 바람의 병풍 역할을 하는 산줄기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미룡캠퍼스는 1980년 흥남동 캠퍼스에서 이전)
관여산은 수 천 년의 흐름 속에서 많은 역사적 사실과 문화유산, 교육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관여산 정상은 옥구평야와 옥구저수지 등 일제강점기에 변모한 군산의 서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천혜의 장소이다. (옥구평야는 끝없이 넓게 펼쳐져 있던 갯벌을 일본인들이 불이농장을 설립해 1920년대에 간척한 곳)
박시균 박물관장은 “이 중요한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군산의 역사가 모두 녹아있는 부분을 다루는 것이기에 군산대학교뿐만 아니라 군산시와 전라북도가 함께 힘을 합하고 더 나아가 국가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장호 총장은 “군산대학교는 인공동굴을 포함한 미룡역사길을 창의적으로 개발해 군산지역의 다층적인 문화적, 역사적 유산들을 더욱 많은 지역, 많은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연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