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은 정녕 비애의 계절인가 보다
상태바
가을은 정녕 비애의 계절인가 보다
  • 허성배
  • 승인 2022.08.25 15: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성배 주필

 

봄은 여자의 계절이고 가을은 남자의 계절이라고 말하지만 추풍낙엽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왠지 쓸쓸한 상념(想念)에 잠겨지고 비애(悲哀)의 감정이 울컥 치밀어 온다.
추야 장장(秋夜長長) 긴긴 가을밤 섬돌 밑에서 안타까이 울어대는 귀뚜라미의 구슬픈 소리를 듣고 있노라면 인생의 무상(無常)함이 새삼스레 느껴지고 이름 모를 고독감마저 엄습해 온다.

아무리 낙천적으로 세상을 사는 여유만만한 사람이라도 앙상한 나뭇가지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공연히 울적한 마음이 들고 시끄러운 세파와 함께 더욱 허전하게만 느껴진다.
아마도 지금쯤 천지의 모든 초목은 그 발아래 더운 피를 쏟아내듯 붉은 잎새를 떨구고 섰으리라. 낭자하게 붉은 선혈처럼 낙엽은 흥건히 젖어 누우리라. 참회의 기도이듯 차가운 가을 밤비를 맨몸으로 맞으면서. 가장 처절한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으리라. 환희의 기도이듯 아름다운 지난 봄철 울긋불긋 어지러이 꽃피던 어리석은 목숨의 화려한 꿈이며. 그 꿈이 가져온 허망스러운 종말의 이 시간. 아픈 뉘우침과 눈물의 기도밖에는 할 수 없는 무엇이 또 있단 말인가.
구름 잡듯 헛된 허상(虛像)을 두고 열정을 바쳤던 지난여름 동안 비린내 엉기던 가슴 가슴마다 무성히 우거진 허세도 교만도 속절없는 가랑잎으로 돌아가 누울 수밖에는 짧은 인생을 천 년이나 살 것처럼 결단코 나만은 죽지 않고 영생(永生)할 목숨처럼 황홀이 부풀렸던 일만 가지 꿈·명예와 사랑과 그리고 돈… 이 모든 것이 이 밤 가을비에 떨어져 흙으로 돌아가는 낙엽의 그것과 무엇이 다르랴?
조락(凋落)의 가을이라지만 가을은 예로부터 말도 살찐다고 하는 풍요로운 수확의 계절이다. 그런데 결실의 계절. 마음 풍성해지는 가을에 어찌 인간은 더욱더 고독을 느끼게 될까?
그것은 사람의 마음이 갈수록 삭막해지기 때문일 것이다. 물질문명의 지배 속에서 자아를 잃고 살아가는 현대인은 갈수록 기계화된 인간으로 변모해 가고 있으니 고독을 느끼게 되는 것이 아닌지….
오늘 내 모습이 가을 초목처럼 가진 것 없이 박복하더라도 오히려 기쁜 눈물로 울기를 바란다. 내 살아온 길과 또 살아갈 길이 비록 험악하더라도 나의 불운(不運)을 눈물의 기도로 조용히 삭여낼 수 있기를 또한 바란다.
말할 때마다(言必稱) 결실의 가을이라지만 멀지 않아 닥칠 눈보라 치는 겨울을 맞을 채비를 갖추어야 하는 서민들의 마음은 절박하고 초조하기만 하다. 노화 천고도 수제(露下天高稻穗齊)라지만 ‘태풍어노상심제’ 수해 농부 허탈감, 태풍과 수해를 입은 농부들은 상심하여 눈물짓는다는 뜻이다.
설상가상으로 지루한 장마와 일기변화로 여러 농작물의 피해가 많은 데다 고춧값과 각종 양념값이 너무 많이 올라 김장 준비를 서두르는 주부들의 착잡한 표정을 대하면 그저 안타깝기만 할 뿐이다.
기름지고 풍성해야 할 가을이 각종 고물가에 시달리며 애태우는 계절에 가을이 한층 더 삭막하게만 느껴질 뿐이다. 중국의 구양수(歐陽修)는 가을의 맑고 아름다운 경치를 각으로 맑은물(刻露淸水)이라 읊은 바 있지만, 황국 단풍 아래 추성(秋聲)을 들으며 소슬바람 따라 거니는 맛도 가을이 아니면 느껴 볼 수 없는 멋이리라….
들에는 오곡백과가 무르익어 황금이 파동치고 하늘은 푸르게 부풀어 희망이 솟는 결실의 풍요한 계절에 들녘을 거닐며 이 어지러운 세파 속에서도 인생을 반추해 보고 삶의 가치를 음미해 보려는 마음의 여유라도 가져 보아야만 하겠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