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 정신 깨워야 국가도 혁신… 작은 정부 필요한 시대
상태바
기업가 정신 깨워야 국가도 혁신… 작은 정부 필요한 시대
  • 전북연합신문
  • 승인 2021.08.30 18: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성배 주필

지난 18일 서울 연세대 백양누리에서 열린 제23회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전·현·차기 학회장들이 만나 주먹인사를 했다.
"코로나19 이후 양극화는 더 심해질 것이다. 경쟁력이 있는 기업과 개인은 새 기회를 얻는 데 더 유리하겠지만, 반대의 경우는 더 힘들 것이다. 이럴 때일수록 국가는 기업과 머리를 맞대고 이들의 뛰어난 역량이 사회에 투영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국내 경영학자들은 코로나19로 지친 한국 사회가 자유로운 경쟁과 공정이라는 룰 안에서 건강한 모습을 되찾도록 하는 역할을 차기 정부가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그동안 정부 주도의 경제 정책을 진행했다면 이제는 민간을 지원하는 조직으로 변모해야 한다"며 "민간 부문의 기업가 정신을 장려해야 국가 수준의 혁신이 지속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제 한국은 정부 주도 사회에서 국민 주도 사회로 변해야 한다"며 "이는 개개인이 행복을 위해 뛸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된 사회로, 정부는 작은 정부로 돌아가 국민이 최선을 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상만 교수는 "한국을 전 세계에서 기업·창업하기 가장 좋은 나라로 만들어야 한다"며 "이는 전 세계 인재와 자본의 유입으로 이어져 강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등 정부 정책 전반에 대한 평가는 팬데믹 초기 대응은 적절했지만 백신 수급이 실패로 이어지면서 국민 불만이 극에 달했다.
K방역은 국민 참여와 희생으로 성공했는데, 이후 정부는 K방역에 도취해 되레 독이 됐다. 진짜 필요한 방역과 경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채 정치 논리에 빠진 것이다. 정부는 백신 조기 확보와 피해 계층에 대한 선별적 핀셋 정책을 펼쳤어야 했다.
실패한 정책은 국민을 고통에 빠뜨린다. 이념을 중시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무시하는 정책은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다. 부동산이 대표적이었다. 정부는 민간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정부는 기업을 파트너로 인식해야 한다. 기업의 혁신 역량과 무형 자산을 사회 발전의 선순환 생태계로 환원할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이번 정부에서는 '선한 정책이 모순된 결과'를 낳기도 했다. 규제와 정책이 오히려 사회적 약자에게 피해로 되돌아온 것이다.
팬데믹 이후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비대면 사회로 전환이 빠른 만큼 신속한 대응력이 요구된다. 그러지 못하면 매출 감소, 시장 상실, 혁신의 실패 등으로 기업이 위기에 빠질 것이다.
넥스트 노멀에 대한 적응이지만 이 길을 찾는 것조차 쉽지 않다. 국내 기업은 대부분 세계무대에서 폴로어 역할을 하다 보니 변화를 예견하고 민첩하게 대응하는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 기업은 소통하고(Communicate) 협력하고(Cooperate) 연결하는(Connect) '3C'의 노력을 해야 한다. 또 전문화·단순화·사회화를 통해 유연성을 제고해야 한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