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 활용해 복지농촌 기반 조성한다
상태바
공공데이터 활용해 복지농촌 기반 조성한다
  • 서윤배 기자
  • 승인 2019.03.24 1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농촌마을 생활서비스 공간 정보 구축… 삶의 질 개선 기여 기대
 
농촌진흥청이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전국의 농촌마을에 대한 생활서비스 공간 정보를 구축했다.
이번 연구는 농촌 3·6·5 생활권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도서지역과 군사보호지역을 제외한 3만 4,196개 농촌마을의 생필품 구매·보육·의료 등 생활 서비스 공간에 대한 정보다.
공공표준데이터와 지방행정 인허가데이터 등 수시로 수집 가능한 공공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에 전국 농촌마을의 공간 정보와 변화를 신속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전국에서 가장 먼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전남 6,735개(전국의 16%) 마을을 분석한 결과, 소매 944개(14.0%), 의료 272개(4%), 응급의료 1,287개(19.1%), 보육시설은 404개(6%) 마을의 서비스 접근성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료 서비스에서 의원은 차량으로 5분 이내 접근 가능한 지역이 3,311개, 10분, 15분 이내 접근 가능한 지역은 각각 5,748개, 6,469개였다. 15분 이상 걸리는 취약 지역은 255개였으며, 병원이나 응급실까지 30분 내에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도 각각 272개(4%), 1,287개(19.1%)로 조사됐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말까지 전국을 대상으로 분석을 마친 뒤 관련 정보를 담은 책자를 발간할 계획이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