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⑦·끝>박숙자 복지부 가족정책관 "다문화 자녀 인재 육성사업 역점"
상태바
<다문화가정-⑦·끝>박숙자 복지부 가족정책관 "다문화 자녀 인재 육성사업 역점"
  • 투데이안
  • 승인 2009.08.02 08: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숙자 보건복지가족부 가족정책관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내년까지 140곳으로 늘리고 다문화가족 정책을 총괄하는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가칭)를 연내 설치할 것"이라고 뉴시스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박 가족정책관은 "올해부터는 결혼이민자 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한국사회에서 글로벌 리더(인재)로 육성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면서 "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문화를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국 사람들이 다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열린 마음을 갖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우리사회에 하나의 문화코드가 된 다문화가족을 안착시키기 위한 복지부의 역점사업은?

"지난해까지는 결혼이민자 1세대를 정착시키는데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결혼이민자 뿐만 아니라 자녀 세대에 대한 것을 추가해 1단계에서 2단계로 도약했다.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한국사회에서 글로벌 리더(인재)로 육성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다문화 자녀들의 한국어 실력을 한국아이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다문화언어지도교실'이나 엄마나라 말로 동화를 읽고 아빠나라말로 동요를 부르는 '이중언어 쓰기' 캠페인 등을 하고 있다. 만약 자녀들에게 베트남 엄마 나라의 말을 못 쓰게 하면 베트남말도 안 하고 한국말도 안 써 자극이 늦어서 언어 지체현상이 온다. 집에서부터 이중언어를 사용하고 몇 군데 보육시설에서는 방학에 시범적으로 이중언어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배정된 교사들의 수가 부족한데 센터를 더 늘릴 계획은 없는가?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전국에 100곳이 있다. 도시에는 센터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관과 교회, 종교기관, 지역주민센터 등 많은 인프라가 구축도 돼 있다. 반면 농촌은 워낙 인프라가 구축돼 있지 않아 농촌에 사는 이주여성들이 상담과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없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내년까지 140곳으로 늘리려고 계획하고 있다. 센터가 전혀 없는 농촌 지역에 신규 센터가 많이 설립되고 도시 지역은 2곳 정도를 새로 설립하려고 생각 중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쏟아내고 있는 다문화정책 업무가 중복되는 부분이 있는데?

"현재 결혼이민자는 국적취득하기 전까지 외국인인데 자녀는 한국인이다. 다문화가족에 대한 정책지원은 외국국적을 가진 외국이민자 뿐만 아니라 남편과 시부모, 자녀도 통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외국인 정책 쪽에서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다.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간사를 맡은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가칭)를 연내 설치해 다문화가족정책을 총괄·조정할 것이다. 이 조직은 다문화가족지원법을 개정해서 법적 근거를 넣을 것이고 개정안 초안을 만들게 된다. 위원회에는 법무부, 복지부, 교과부, 문화관광부, 행정안전부, 여성부, 외교통상부 등 8개 부처가 들어간다."

-자치단체와 다문화센터의 프로그램이 한국어 교육에 편중돼 있는데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문화를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국 사람들이 다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열린 마음을 갖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다문화가족에게 엄마나라인 베트남이나 필리핀 문화를 알려주는 사업을 5월부터 시작했다. 또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한국가족을 위한 다문화사업을 사업을 시작하려고 한다. 그 중 '이웃사촌 한가족 맺기 사업'을 하는데 다문화가족과 한국가족이 이웃사촌을 맺으면 한 달, 일주일에 한 번씩 자국의 음식과 문화를 나누고 미술관이나 공원도 함께 가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92곳의 건강지원센터 가운데 절반이 다문화사업을 하고 있다. 복지부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예산을 지원하려고 한다."

-내년도 다문화가정의 정책 지원 예산은?

"지난해 결혼이민자 관련 사업 예산은 복지부에 232억 원 배정됐고 추경을 더 따긴 했지만 예산은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 내년 예산은 약 400억 원을 신청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지난해부터 본격 시작한 통번역사 양성사업에 약 10억 원의 예산을 편성해 결혼이주여성 58명, 추경예산으로 90명을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취업시켰다. 이들은 한 달에 95만원의 월급을 받고 있다. 결혼이주여성에게 새로운 기술이나 창업전략을 가르치는 것 보다 이들이 제일 잘하는 외국어와 한국어만 깨우치면 복지부에서 하는 외국인 환자유치 통역사나 기업체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통번역사 이주여성들은 돈을 벌어 친정에도 보내고 남편과 시댁도 아내가 현금을 벌어온다는 것을 굉장히 자랑스러워한다. 아이들도 엄마에 대해 자부심을 느낀다."

-국제결혼 부부들의 이혼율이 늘고 있는데 예방대책은?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해 지자체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배우자 사전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국제결혼을 하는 사람들과 배우자와 시부모를 대상으로 예비 교육을 실시한다. 미리 교육을 받고 결혼하면 배우자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언어소통의 어려움 등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아직 한국 남편들의 참여율은 저조하다.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현지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최근 기업들의 다문화가정 사업이 활발한데?

"최근 기업들이 공익사업의 일환으로 다문화가족을 지원하고 있다. 모범 결혼이주여성에게 상을 주기도 하고 행사를 열거나 친정부모를 초청해 국내 관광도 시켜준다. 하지만 이 같은 일회성 행사 보다 언어교실처럼 다문화가정의 아이가 지속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더 필요하다. 다문화지원사업의 모범이 되는 기업인 하나금융그룹은 이중언어 쓰기 포스터를 복지부와 제작해 배포했고 양국어를 병기한 어린이 전래동화, 위인전 등 도서 4만5000여권을 펴내 전국 1만5000여 다문화가정에 나눠줬다. 한국토지공사는 전국 11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내에 다문화 언어교실을 설치할 예정이다. 지난 4월에 첫 개소식을 가진 서울 동작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는 책상과 의자를 기부하는 등 인테리어도 협찬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