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버스DRT 연간 4만명 이용, 전북發 DRT 전국적 확산, 만족도 전국 1위
상태바
전북 버스DRT 연간 4만명 이용, 전북發 DRT 전국적 확산, 만족도 전국 1위
  • 전광훈 기자
  • 승인 2016.10.27 17: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 DRT(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의 성과와 과제
-전북연구원, ‘수요창출과 주민 주도 운영체계 마련 등 필요’

도내 6개 시·군에서 전북도 시범사업 및 국가예산사업으로 추진 중인 버스형 DRT(Demand Response Transit,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의 이용수요가 2016년 월평균 3,300여명, 연간 약 4만여명이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북연구원이 발간한 ‘전북 DRT(수요응답형 교통)의 성과와 과제’ 이슈브리핑(153호)에 따르면 도가 지난해 4월 전국 최초로 도입한 전북 버스형 DRT가 지금은 마중버스, 희망버스, 행복버스, 시골버스 등 다양한 이름으로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1차 전북 시범사업에서 기존 노선버스 운행지역 이용객이 DRT 도입 이전에 비해 9배 증가했고, 연간 이용객 수도 버스DRT가 약 4만여명, 택시DRT가 5만여명으로 늘어 교통소외지역에 주이용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실제 전북이 지난해 실시한 DRT 이용자 만족도(평균 92점)에서 광역지자체 중 전국 1위를 차지해 성과를 방증했다.

또한 같은 해 민원행정 개선 우수사례경진대회 대상(대통령상) 수상하기도 했다.

이러한 성과를 토대로 도는 현재 기존 노선버스에서 500m 이상 이격됐거나 회전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마을을 대상으로 DRT 확대할 방침이다.

전북연구원 김상엽 부연구위원은 “전북도가 관심을 갖고 버스형 DRT 시범사업, 농어촌 중고등학생 통학택시 등 교통사각지대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적극적 정책의 결과”라고 밝힌 뒤 “사업이 향후 지속되기 위해서는 서비스 개선과 신규노선 발굴 등 수요 창출과 주민주도의 운영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그러면서 이용자 중심의 DRT 정착을 위한 과제로 ▲전산화 DB 및 콜센터 운영 ▲운송업계(버스-택시)간 이해관계 해소 ▲신규 수요 창출을 위한 맞춤형 사업 발굴 등을 제안했다.

아울러 DRT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택시형 DRT의 지원 근거 마련 ▲지역맞춤형 운영방식 도입 ▲노선 버스 대체형 DRT 사업의 확대 ▲직접 운영하는 방식 등 운영방식의 개선 ▲문화여가 목적형 운행 신규노선 등이 필요를 주장했다.


주요기사